본문 바로가기
의학/내과(감염,심장,신장,폐,류마)

의사가 알려주는 고혈압 초기증상, 무시하면 생기는 문제들

by 의사,그리고 2025. 4. 18.
반응형
목차

1. 고혈압, 정확히 무엇을 의미할까요?

2. 혹시 나도? 고혈압의 희미한 초기 신호들

3. 고혈압 무시? 당신의 몸에서 벌어지는 끔찍한 일들

결론: 지금 바로 당신의 혈압을 확인하세요!

“침묵의 살인자”

이 섬뜩한 별명은 바로 고혈압을 지칭하는 말입니다. 혹시 ‘나는 괜찮겠지’ 하고 안일하게 생각하고 계신가요?

 

고혈압은 뚜렷한 초기 증상 없이 소리소문없이 다가와 우리의 건강을 심각하게 위협할 수 있는 질환입니다 [18, 20]. 마치 예고 없이 찾아오는 불청객처럼 말이지요. 이번 시간에는 의사의 관점에서 고혈압의 미묘한 초기 신호는 무엇이며, 이를 가볍게 여기고 방치했을 때 어떤 무서운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지 명확하고 깊이 있게 알려드리겠습니다. 고혈압의 심각성을 반드시 인지하고 건강 관리의 중요성을 깨닫는 시간이 되시길 바랍니다.

 

참고로 저는 의사로 살면서 혈압이 높아 당장 약을 먹으라고 경고했던 사람 중 3명이 한달 안에 사망한 것을 본 적이 있습니다.

 

1. 고혈압, 정확히 무엇을 의미할까요?

 

본격적인 이야기에 앞서, 고혈압이 무엇인지부터 정확히 짚고 넘어가야 합니다.

혈압이란 혈액이 혈관 벽을 밀어내는 압력을 말합니다 [5, 21]. 우리 심장은 펌프처럼 혈액을 온몸으로 보내는데, 이때 심장이 수축하며 혈액을 내보낼 때의 압력이 수축기 혈압(최고 혈압)이고, 이완하며 혈액을 받아들일 때의 압력이 이완기 혈압(최저 혈압)입니다 [5, 6].

 

그렇다면 어느 정도 혈압이 높아야 고혈압일까요? 혈압은 지속적으로 변하기 때문에 여러 번 측정하여 판단하며 [5, 26], 대한고혈압학회 등의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혈압 분류 수축기 혈압 (mmHg) 그리고/또는 이완기 혈압 (mmHg)
정상 혈압 120 미만 그리고 80 미만
고혈압 전단계 120 ~ 139 또는 80 ~ 89
고혈압 1기 140 ~ 159 또는 90 ~ 99
고혈압 2기 160 이상 또는 100 이상

출처: 대한고혈압학회 2022년 고혈압 진료지침 [11, 13, 27]

 

에서 보듯이, 수축기 혈압 140mmHg 이상 ‘또는’ 이완기 혈압 90mmHg 이상이면 고혈압으로 진단합니다 [2]. 둘 중 하나만 해당되어도 고혈압이라는 사실을 절대 잊지 마십시오. 정상 혈압은 120/80mmHg 미만이어야 합니다 [5, 6].

 

2. 혹시 나도? 고혈압의 희미한 초기 신호들

이제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시는 고혈압 초기 증상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흔히 뒷목 뻐근함, 두통, 어지럼증 등을 고혈압 증상으로 생각하시는데요 [1, 13]. 하지만 가장 중요한 사실은, 대부분의 고혈압 환자는 초기에 아무런 증상을 느끼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1, 3, 9]. 바로 이것이 고혈압이 ‘침묵의 살인자’로 불리는 결정적인 이유입니다 [14, 18, 29]. 증상이 없으니 방치하다가 심각한 합병증이 생긴 뒤에야 발견되는 경우가 비일비재합니다 [1, 20]. 실제로 고혈압을 경고했던 환자들이 혈압과 관련된 질병으로 돌아가시는 것을 보면서 참 안타까웠습니다.

 

“증상이 없다니, 그럼 뭘 조심해야 한다는 거죠?”

 

네, 그렇습니다. 증상이 없기에 더욱 위험한데요.

하지만 일부에서는 다음과 같은 모호한 신호가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물론 이 증상들이 반드시 고혈압 때문은 아닙니다.

 

  • 두통: 주로 뒷머리 쪽이 아프고, 아침에 심했다가 점차 나아지는 양상을 보일 수 있습니다 [1, 13, 24]. 하지만 두통 때문에 혈압이 오르는 경우도 많다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1].
  • 어지럼증: 갑자기 어지러운 느낌이 들 수 있습니다 [1, 13].
  • 피로감: 특별한 이유 없이 쉽게 피곤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1, 13, 21].

 

이 외에도 가슴 두근거림, 시야 흐림 등이 드물게 나타날 수 있으나 [13, 24], 이러한 증상들에 의존해서 고혈압을 판단하는 것은 매우 위험합니다. 증상 유무와 관계없이 정기적인 혈압 측정만이 고혈압을 조기에 발견하는 유일하고 확실한 길임을 명심하시기 바랍니다.

 

3. 고혈압 무시? 당신의 몸에서 벌어지는 끔찍한 일들

 

“증상도 없는데 괜찮겠지” 하며 고혈압을 방치하는 것은, 내 몸 안에 시한폭탄을 설치하는 것과 같습니다 [29].

높은 혈압은 당장 불편함을 주지 않을지 몰라도, 우리 몸의 혈관과 주요 장기들을 지속적으로 손상시키고 있습니다 [4, 15, 20, 26]. 높은 수압이 오래된 수도관을 부식시키듯, 높은 혈압은 혈관 내벽을 손상시켜 동맥경화증(혈관이 딱딱해지고 좁아짐)을 유발하고 가속화합니다 [4, 12]

 

“혈관이 좀 망가지면 어때서요?”

 

혈관은 뇌, 심장, 신장 등 우리 몸의 모든 중요 장기로 영양분과 산소를 실어 나르는 생명선입니다. 혈관이 망가지면 이들 장기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며, 이는 곧 치명적인 합병증으로 이어집니다 [6, 15, 20]. 고혈압을 무시했을 때 발생하는 대표적인 합병증들을 살펴보겠습니다.

 

1. 뇌: 예고 없이 찾아오는 재앙, 뇌졸중

고혈압은 뇌졸중(뇌혈관이 막히는 뇌경색, 터지는 뇌출혈)의 가장 강력한 원인입니다 [1, 5]. 뇌혈관이 손상되면 갑작스러운 마비, 언어 장애, 심한 두통, 의식 저하 등이 발생하며, 영구적인 장애를 남기거나 사망에 이를 수 있습니다 [1, 4]. 또한 뇌혈관 손상은 혈관성 치매의 위험도 높입니다 [3, 4].

2. 심장: 지쳐가는 엔진, 심장 질환

높은 혈압을 이겨내기 위해 심장은 끊임없이 무리하게 됩니다. 이는 심장 근육이 두꺼워지는 심장비대를 유발하고, 심장 혈관(관상동맥)의 동맥경화를 촉진하여 협심증(가슴 통증)이나 심근경색(심장마비)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1, 4]. 결국 심장 기능이 떨어져 온몸에 혈액을 제대로 보내지 못하는 심부전 상태에 빠질 수도 있습니다 [1, 4, 8, 10].

 

3. 신장: 망가지는 필터, 만성 신부전

고혈압은 신장의 미세 혈관을 손상시켜 노폐물 여과 기능을 떨어뜨립니다 [1, 4, 12, 18]. 초기에는 소변으로 단백질이 빠져나오는 단백뇨가 나타나고, 심해지면 신장 기능이 영구적으로 손상되는 만성 신부전으로 진행되어 혈액 투석이나 신장 이식이 필요하게 될 수 있습니다 [1, 4, 12].

 

4. 눈: 서서히 어두워지는 시야, 고혈압성 망막병증

눈 속 망막 혈관 역시 고혈압의 영향을 받습니다. 망막 혈관이 손상되면 시야가 흐려지고 시력이 저하되며(고혈압성 망막병증), 심한 경우 실명에 이를 수도 있습니다 [1, 4, 12].

 

결론: 지금 바로 당신의 혈압을 확인하세요!

 

지금까지 고혈압의 초기 증상과 방치 시의 위험성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핵심은 고혈압은 대부분 증상이 없다는 것이며 [1, 3, 9], 증상이 없다고 해서 결코 안전한 것이 아니라는 점입니다.

오히려 소리 없이 진행되어 뇌, 심장, 신장, 눈 등 주요 장기를 손상시키고 돌이킬 수 없는 합병증을 유발하는 무서운 질환입니다 [4, 18, 20].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정답은 정기적인 혈압 측정과 적극적인 관리뿐입니다. 자신의 혈압 수치를 정확히 알고, 만약 고혈압이라면 의사의 진료에 따라 생활 습관 개선(저염식, 운동, 금연, 절주 등)과 꾸준한 약물 치료를 통해 혈압을 반드시 정상 범위로 조절해야 합니다 [1, 5, 6].

고혈압은 평생 관리해야 하는 질병임을 절대 잊지 마십시오 [15, 21].

 

더 이상 고혈압을 외면하지 마세요. 지금 바로 혈압을 측정하고 당신의 건강 상태를 확인하십시오. 만약 혈압이 높다면 즉시 의사와 상담하고 관리를 시작해야 합니다. 이것이 침묵의 살인자로부터 당신의 소중한 생명과 건강을 지키는 유일한 길입니다.

 

병원을 방문하기 꺼려진다면 제게 찾아오세요. 고혈압약을 먹고 있는 의사인 제가 더 자세히 설명하고 친절히 진료해드리겠습니다.

 

 

식욕억제제 (다이어트약) 효능 및 부작용 (위고비, 삭센다, 마운자로)

목차 1. 식욕억제제(다이어트약) 종류 (1) 향정신성의약품 (2) 비향정신성의약품 2. 위고비 효과 및 부작용 (국내 도입 시점) 3. 마운자로 효과 및 부작용 (국내 도입 시점) 4. 식욕억제제(다이어트약

drstevem.tistory.com

 

 

치매를 예방하는 약, 뇌 영양제는 치매에 효과가 있을까?

목차 1. 치매란 무엇인가? 2. 치매 예방약(뇌 영양제)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3. 뇌 영양제 4. 치매 예방약의 보험급여 제외 이슈 5. 새로운 치매 예방약 6. 완벽히 입증된 치매 예방 방법 7. 현대의학

drstevem.tistory.com

 

참고문헌

 

서울아산병원. 고혈압 | 질환백과 | 의료정보 | 건강정보.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고혈압.

Cleveland Clinic. High Blood Pressure: Symptoms & Causes.

Mayo Clinic. High blood pressure dangers: Hypertension's effects on your body.

의과학연구정보센터 (KCTBASE). Hypertension (고혈압).

서울대학교병원 국민건강지식센터. 고혈압.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서울병원. 고혈압의 약물치료와 생활습관 관리 (2025-01-15).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Hypertension (2023-03-16).

Medical News Today. High blood pressure symptoms and complications.

American Heart Association. Health Threats from High Blood Pressure (2024-05-06).

헬스케어N. 대한고혈압학회 2022년 고혈압 진료지침 공개 (2022-10-06).

건강iN magazine. 합병증이 더 무서운 고혈압.

바른의학연구소 블로그. 고혈압(hypertension) : 개요, 정의, 기준, 증상, 진단 및 평가, 검사, 국내지침, 유럽지침 (2019-11-19).

서울대학교병원 국민건강지식센터. 고혈압성 심질환 (2021-03-19).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고혈압심장질환.

메디칼타임즈. 4년만에 바뀐 고혈압 진료지침…목표 혈압 강화‧세분화 (2022-05-13).

서울대학교병원. [SNUH 건강정보] 침묵의 살인자'고혈압'바로 알기 (2023-01-20).

MSD 매뉴얼 일반인용. 고혈압.

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 블로그. 나도 모르는 사이에 고혈압? 혈압 정상 범위와 혈압 낮추는 방법 (2019-05-30).

전남대학교병원. 질병정보: 얼굴없는 살인자, 고혈압.

(블로그). 고혈압의 초기 증상을 알아보자 (2018-05-04).

헬스케어N. '소리 없는 살인자' 고혈압, 무서운 이유는 합병증 탓 (2023-05-04).

대한고혈압학회. 공식 웹사이트.

 

반응형